Notice»

Recent Post»

Recent Comment»

« 2024/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새드 배케이션, 아오야마 신지

Ending Credit | 2008. 3. 21. 14:10 | Posted by 맥거핀.
사용자 삽입 이미지



1.

한 낮의 명동 거리는 시끄럽고 복잡했다. 너무 시끄러워 머리가 아플 정도였다. 그와 반면 시끄러움을 피해 들어간 한 낮의 중앙시네마는 지나칠 정도로 조용했다. 이 지나친 시끄러움과 지나친 조용함은 나를 조금은 어리둥절하게 만들었다.

시간이 안 맞으면 안 볼 생각이었다. 그러나 시간은 3시 20분. 영화는 136분짜리. 약속 시간은 저녁 6시. 이 보다 더 시간이 잘 맞을 수는 없었다. 그래서 5000원짜리 티켓을 사고(스폰지데이라고 하더군, 이런 고마울 데가), 1000원짜리 콜라를 사고(메가박스나 롯데시네마의 1500원짜리 콜라에 익숙해져 있던 나에게 신선한 충격이다) 무작정 영화관에 들어가 앉았다.

자리는 약간 비좁고, 앞 사람이 키가 큰지 작은지 앞사람이 조금씩 움직일 때마다 바로바로 확인이 가능하다. 어디선가에서 “누가 중앙 아니랠까봐.”라는 투정섞인 목소리도 들린다. 관객층은 막 대학생이 된 듯한 소년에 가까운 청년에서부터, 나란히 앉은 젊은 여성관객 몇 그룹, 머리가 백발이 된 어느 노신사, 중년의 아주머니와 딸로 보이는 듯한 젊은 여성, 그리고 띄엄띄엄, 그러나 균형을 이루고 앉아 있는 남자 몇 명, 그리고 나. 생각보다 관객은 많다. 한 30명 정도 될라나? 이상한 음색의, 마치 학교종을 연상시키는 차임벨과 함께 갑자기 광고도 하나 없이 마이클 무어의 <식코> 예고편이 흘러나온다(암튼 마이클 무어의 교묘한 편집능력은 이 짧은 예고편에서부터 드러난다. “미국의 복지는 아무런 문제가 없어요.”라는 부시의 연설에 곧 이어, “내 남편은 의료혜택도 못 받고 죽어갔어요.”라는 한 아주머니의 울음섞인 목소리가 나오는 식이다.) 그리고 곧 이 영화가 시작한다. <새드 배케이션>.

2.

이 남자, 켄지(아사노 타다노부). 전혀 속을 알 수 없는 인물이다. 그에게는 돈을 위해 사람을 팔아넘기는 극단의 악과 그러면서도 어린아이는 구해서 도망치는 극단의 선이 혼재되어 있다. 그래서 이 영화에는 줄곧 무언가 불안한 기운이 떠돈다. 그것은 영화 속 고토(오다기리 조)의 대사에서도 잘 드러난다. “당신, 무서운 사람이군요.” (아마도 고토는 무서운 것들을 판별하는 능력을 누구보다도 길러야 했을 것이다. 그는 도망쳐야 하니까.)

영화가 중반을 넘어가면서 그의 이런 불안한 기운이 예전의 어떤 사건들에서 비롯된 것임이, 그리고 이런 불안하고 기묘한 동거가 사실은 어린 시절 자신을 버린 어머니에 대한 복수의 하나로서 이어지고 있음이 거의 모든 영화관의 관객들에게도 받아들여질 무렵에도 나는 여전히 불안했다. 그가 원하는 것이 단지 복수인가, 그는 정말 ‘당신을 불행하게 만들 기 위해서라면 무슨 일이든 할 수 있다’(영화 포스터에는 이렇게 적혀 있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일까. (어쩌면 이는 내가 아사노 타다노부의 연기에 너무 빠져버린 탓이 아닐는지 모르겠다. 웃는 것도, 우는 것도, 그러나 결코 평온하지 않은 그의 얼굴,)

사실 그가 원한 것은 복수가 아니었다. 그저 조용하고 평온하게 밥을 먹고, 차를 마시고, 일을 하고, 잠을 자는 것. 그러기 위해서는 단지 그는 어머니에게 ‘미안하다’는 말 한 마디만 들으면 되었던 것이다(영화의 시작 부분에 나오는 노래의 가사에 계속 ‘미안해, 미안해’가 반복되는 것처럼 말이다). 그러나 진정 무서운 사람은 어머니였다. 실상 켄지는 약한 사람이었고, 부서질 것 같으면서도 부서지지 않는 존재, 그는 그의 어머니였다. 부딪히면 부딪힐수록 더욱 아득히 멀어지는 어머니라는 존재. <헬프리스>, <유레카>에 이어지는 이 3부작 <새드 베케이션>에서도 그래서 이야기는 끝나지 않는다. 켄지의 복수 아닌 복수는 도리어 그를 다치게 만들었을 뿐이며, 그는 아직 많은 것들 사이에 놓여 있다.

3.

이 영화에서 또 하나 흥미로운 점은 영화의 주 무대가 되는 이른바 ‘마미야 월드’에 대한 것이다. 일견 따뜻하고 이상적인 공동체로도 보이나, 어딘지 모르게 아슬아슬하고 기묘한 공동체이면서 어떻게든 살아가려는, 동시에 살아남으려고 발버둥 치는 존재들의 집합. 서로가 일정한 선을 그어 놓고, 그러한 일정한 범위를 넘지 않는 선에서 서로가 서로를 돕는 그런 집합. (비누 방울이 아무리 크고 아름다워도 언젠가는 ‘퐁’하고 터지는 것처럼, 아주 불안한 그런 공동체 말이다.)

그런 공동체가 사실 이상할 것도 없는 것은 사실 우리가 사는 회사나 학교의 많은 부분들이 그런 사람들의 조합이며, 그런 식의 관계로 맺어진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라고 말한다면 내가 지나친 것일까. 어쩌면, 우리 학교나 우리가 속해 있는 어떤 공동체도 카메라를 그렇게 아오야마 신지 식대로 가져다댄다면 그렇게 보이지 않을는지. 그래도, 그래도 말이다, 우리가 그렇게 생각함에도 어떻게든 그 공동체를 유지하려 하는 것은 한 발짝만 밖으로 나가면 중국인 소년 아춘을 납치해가고, 사람을 칼로 찔러대는 그런 무서운 세계가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우리의 외부에도 그보다도 몇 배는 훨씬 더 무서운 세계가 도사리고 있음을 우리 모두가 인정하고 있기 때문이 아닐는지.

그래서 그런지 몰라도 영화를 본 지 며칠이 지난 지금까지도 불안한 기운을 증폭시키던, 뭔가 불안한 사건이 터질 때마다 흘러나오던 기묘하게 삐걱거리는 듯한 음악이 생각난다. 삐그덕 삐그덕, 삐그덕 삐그덕.

4.

영화가 끝나고 엔딩 크레딧이 한참 올라가는데도 누구하나 일어서지 않는다. 다른 때 같으면, 주연배우들의 이름이 지나가고, 스탭들의 이름이 올라갈 참이면 나도 일어설 텐데, 도저히 일어나지 못하겠다. 에라 모르겠다, 하고 눈을 감고 음악을 들으며, 아 이런 것도 별로 나쁘지는 않네, 하고 생각했다. (솔직히 영화가 끝나고 앞으로 이런 짓을 가끔 해봐야 되겠군 하는 생각이 들었다.)

긴 엔딩크레딧 송을 들으며, 이 감독의 다른 영화를 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런 불안하고도 기묘하고도 복잡한 세계를 매끄러운 솜씨로, 그러나 가볍지 않게 그려낼 줄 아는 감독이라면, 분명히 다른 영화들도 녹록하지는 않을 테지만. 아무튼 그래서 지금은 <헬프리스>와 <유레카>를 구해야 할 때.








                                

Johnny Thunders- Sad Vacation

'Ending Cred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레카(eureka), 아오야마 신지  (0) 2008.04.17
미스트(The Mist), 프랭크 다라본트  (4) 2008.04.12
식코(Sicko), 마이클 무어  (14) 2008.04.09
헬프리스(helpless), 아오야마 신지  (0) 2008.04.05
밤과 낮, 홍상수  (2) 2008.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