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

Recent Comment»

« 2024/3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거짓으로 밝혀내는 거짓의 메커니즘

The Book | 2013. 3. 18. 17:01 | Posted by 맥거핀.
프라하의묘지.1움베르토에코장편소설
카테고리 소설 > 기타나라소설
지은이 움베르토 에코 (열린책들, 2013년)
상세보기




움베르트 에코의 소설들은 늘 여러 겹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사실, 사실적인 허구, 허구적인 사실, 완전한 허구, 사실들의 주석, 사실들의 허구적인 주석, 허구들의 사실적인 주석, 각종 기호들, 특정의 양식, 원본과 위본, 출처를 알 수 없는 이야기들, 생몰연대가 불확실한 인물들, 사물들의 연대기, 떠도는 풍문들 등등. 우리는 그의 소설들에서 늘 이것들을 구별해낼 수 없었고, 사실들과 허구들과 기호들과 이야기들과 풍문들과 진짜와 가짜, 그 사이 어디엔가에서 늘 길을 잃다가 에코가 선심쓰듯 마련해준 출구로 겨우 기어나오곤 했다. 사실 그곳이 제대로된 출구인지 전혀 확신하지 못한 채로 말이다. (아마도 대부분은 분명 잘못된 출구이거나 혹은 사실은 입구였을 것이다.) 즉 에코의 소설에는 이야기만 있는 것이 아니었다. 그 이야기를 둘러싼 다른 어떤 것들이 존재했고, 그 존재를 파악하기가 힘든 것은 한편으로는 그 이야기를 하는 방식의 문제에서 연유한 것이기도 했다. 그리고 그것은 소설을 '기호학적 실천'이라고 생각하는 그의 태도에서 상당수 비롯된다. 기호학은 상징이나 도상, 지표와 같은 것들의 의미 체계를 연구하는 것이고, 그것은 결국 그것이 지시하는 어떤 것보다, 그 기호 자체에 더 초점을 맞추는 것이기 때문이다. 즉 기호학은 그것이 의미하는 어떤 진실을 찾아내기 위해 그 기호체계 자체의 규약을 찾아내려고 하지만, 때로는 그 기호가 의미하는 어떤 것보다 기호 자체의 작동이 더 큰 다른 의미를 만들어낼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그래서 에코의 소설에서 그 이야기 자체는 짐짓 어디에선가 발견된 원본의 일부라던가, 혹은 필사본이라던가, 숨겨진 내부의 문건들이라는 식의 형태를 띠었고, 그것은 이 소설 <프라하의 묘지>도 마찬가지이다.  

<프라하의 묘지>는 크게 세 가지의 문건이 뒤섞여 있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거짓과 위조를 일삼으며 거짓된 문서를 만들어내는 것으로 살아가는 공증인 시모니니가 기억을 잃은 채로 자신의 기억을 되살리기 위해 적어내려가는 일기가 그 하나이고, 그의 가까이에서 살면서 그 시모니니의 일기를 읽으며 거기에 자신의 생각을 첨부하는 역시 기억을 잃어버린 달라 피콜라 신부의 기록이 그 하나이며, 다른 하나는 이 두 개의 문건을 후대에 입수한 어느 이름모를 화자(물론 에코 자신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가 재구성한 기록이 그 하나이다. 그런데 에코는 이 세 개의 문건을 분리된 플롯으로 구성하지 않고, 이 세 명의 화자가 번갈아 등장하여, 자신의 이야기를 뒤섞는 형태로 플롯을 구성하고 있는데, 이는 또 각각의 분절적인 사건이 계속 이어지는 형태를 취함으로써, 19세기 신문 연재소설의 형태를 연상시킨다. 또한 여기에 에코는 자신의 장기를 발휘하여 19세기 대중소설의 문체를 모방함으로써 독자에게 읽는 재미를 더해 주도록 노력하고 있기도 하다. 플롯이 아닌 스토리로 보면 이 <프라하의 묘지>는 공증인 시모니니의 거짓와 사기, 조작으로 점철된 일대기이며, 동시에 반(反)유대주의 문서인 '프로토콜'의 탄생 과정인데, 여기에서 에코는 이 스토리와 이 고유의 형식을 결합시킴으로써 이 소설을 단지 형식의 과시 이상의 것으로 이끌고 있다.

즉 에코는 이 소설에서 '프로토콜'이라는 실제로 존재하는 문서, 이 반유대주의로 점철된 문서가 단지 조작과 거짓과 사기에서 비롯되었음을 밝혀내기 위해, 그 기원을 추적하는 것처럼 만들어진 이 소설 <프라하의 묘지> 자체를 일종의 거짓 문서, 위작처럼 보이도록 만들고 있다. 이를 일종의 내용과 형식의 결합이라고 말할 수도 있는데, 이는 하나의 문서가 얼마나 말도 안되는 허구적인 내용을 담고 있는지를 밝히기 위해, 그 문서를 둘러싼 모든 것, 그러니까 그 문서를 만들어낸 시모니니라는 저자의 모든 것을 허구로 받아들이도록 독자를 이끄는 것이다. 즉 에코는 이 내용이 거짓임을 보여주기 위해 '이것이 거짓이다'라고 독자에게 간단하게 이야기해주는 것이 아니라, 그 형식을 거짓되게 만들어냄으로써 독자가 읽는 과정에서 스스로 '이것이 거짓임'을 깨닫기를 바라는 것처럼 보인다. (조금 다른 얘기일지도 모르지만 예를 들어 이러한 것을 말할 수 있다. 알렉산더 페인의 영화 <디센던트>에서 초반부에 '하와이를 단지 휴양지로만 여기지 말라, 여기에도 다 나름의 삶이 있다'는 주인공의 말이 나온다. 그런데 이 영화에서 가장 의아한 것은 그럼에도 이 영화는 하와이를 휴양지처럼 '보이게' 찍었다는 것이다. 그 내용과 그 보여주는 것이 다를 때, 우리는 그 영화에서 최종적으로 무엇을 받아들이게 되는가. 이것이 소설의 경우라면 어떨까.)

물론 여기에서 주의할 점이 한 가지 있다. 그것은 이 자체가 거짓으로 보이기는 하되, 이것은 완전한 허구가 되어서는 안된다는 점이다. 왜냐하면 그 문서 '프로토콜'은 허구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실제의 아우슈비츠로 되돌아왔기 때문이다. 즉 이 책 26장의 제목이기도 한 히틀러의 '마지막 해결책'이라는 실제로 되돌아왔기 때문이다. (히틀러는 <나의 투쟁>(I, 11)에서 이렇게 썼다. "그 민족의 삶이 끊임없는 거짓에 바탕을 두고 있다는 사실은 저 유명한 <시온 장로들의 프로토콜>에 분명하게 나와 있다. <프랑크푸르터 차이퉁>은 매주 징징거리며 주장하기를, 그 문서가 허위 사실에 근거하고 있다고 한다. 이것이야말로 그 문서가 진짜라는 가장 훌륭한 증거이다. (......) 그 책이 온 국민의 공동 자산이 될 때에는 유대 민족의 위험이 제거된 것으로 여겨도 되리라." - p.766) 그리고 어떤 것이 완전한 허구라고 여겨지는 순간, 그 실제로 일어났던 어떤 것(예를 들어 제노사이드)마저도 마치 허구인 것처럼 받아들여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에코는 시모니니를 제외한 거의 모든 인물을 실제의 인물들로 배치하고, 실제 일어났던 사건들, 즉 예로 들어 가리발디의 원정이라던가, 프랑스-프로이센 전쟁, 파리 코뮌, 드레퓌스 사건 등에 이 시모니니를 깊숙하게 개입시킨다. 즉 실제의 사건 속에 단 하나의 거짓 인물을 투입함으로써 그의 거짓이 더욱 도드라지게 만드는 것이다. 그리고 그것은 적절하게 효과를 거두며, 그것은 물론 이런 사실적인 허구, 혹은 허구적인 사실이 에코의 장기이기 때문이다.

그 허구처럼 보이는 사실, 혹은 사실처럼 보이는 허구, 즉 사실과 허구를 뒤섞는 것은 에코의 장기일 뿐더러 동시에 이 주인공 시모니니의 장기이다. 시모니니는 위조된 문서를 만들어 내는 몇 가지의 원칙을 독자들에게 들려준다. 그것은 예를 들어 어떤 자에게 무엇인가를 믿게 하려면, 전혀 새로운 사실이 아니라 그가 이미 믿고 있는 이야기를 들려주어야 한다는 것, 적당한 적을 설정하여, 읽는 이의 분노를 그것에 집중시켜야 한다는 것, 혹은 한번에 한가지에 대해서만 혐오감을 가지도록 해야 한다는 것, 그러나 그러면서도 동시에 어떤 읽는 이의 흥미 혹은 재미를 돋우어야 한다는 것 등이다. 그런데 생각해보면 이런 것이야말로 이 소설 <프라하의 묘지>가 가지는 전략이다. 이것은 소설의 초반부부터 전개되는데, 주인공 시모니니는 프랑스인, 유대인, 독일인, 러시아인, 공화주의자들, 공산주의자들, 사제들, 여자들 등 자신 외의 거의 모든 집단들에게 혐오감을 내비치며, 그들 모두를 번갈아 적당한 적으로 등장시키면서 어떤 분노가 단계적으로 옮아가도록 한다. 동시에 그가 적으로 설정하는 음모나 꺼림칙한 것들로 가득한 집단은 그가 만들어낸 완전히 새로운 것이 아니라 사실 상당수의 사람들이 이미 믿고 있는 프리메이슨회나 예수회, 유대인들 등에 대한 어떤 것에서 기초한다. 즉 에코는 이 소설 <프라하의 묘지>에서 시모니니가 구사하는 위조의 전략을 이미 충분히 이용하고 있다.

이것을 이렇게 말할 수 있는데, 다시 말해서 에코가 원하는 것은 이 소설을 충분히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 반대에 가깝다. 왜냐하면 이 자체가 한 권의 위조된 문서이며, 거짓된 기록이기 때문이다. 보통의 소설은 읽는이가 주인공에 동화되어 그의 행동을 이해하고, 그와 함께 사건의 전모를 상세하게 이해하는 데 그 목적이 있지만, 이 소설은 반대로 주인공을 혐오하게 하거나, 그가 벌인 거짓의 역사를 이해할 수 없는 것, 즉 이치에 닿을 수 없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그것을 위해서 에코는 몇 가지의 전략을 쓰고 있는데, 앞에서 말한 플롯을 복잡하게 구성하거나, 사건을 분절시키거나 하는 것들도 그러하거니와 죽었던 인물, 혹은 죽었다고 믿어졌던 인물을 다시 등장시키거나, 매번 새로운 인물을 등장시키는 것 등도 그러하다. 즉 이 소설의 줄거리가 아무리 읽어도 명확하게 이해되지 않는다면 그 이유가 있는데, 그것은 작가 에코가 (의도한 바대로) 그것을 읽는 이에게 이해시킬 마음이 없기 때문이다. 또한 주인공 시모니니의 미식의, 아니 식탐의 기록을 나열하는 것도 같은 맥락이라고 할 수 있는데, 그가 먹는 음식의 아주 상세한 레시피를 정밀하게 기록하는 것은 독자의 식욕을 돋구는 것이 아니라, 도리어 그 식욕을 멈추게 하여 안 그래도 정나미 떨어지는 모두까기인형 시모니니에 대한 독자의 혐오감을 북돋우는 데에 그 목적이 있는 것처럼 보인다. (물론 이는 타락한 영혼의 소유자인 시모니니의 탐욕한 모습을 극대화시키고, 동시에 이러한 음식문화에 담긴 어떤 근대적인 탐욕을 밝히는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프라하의 묘지> 마지막 장을 덮고 우리는 묻는다. 지금까지 내가 읽은 것은 무엇이지? 이 이야기를 어디까지 믿어야 하지?  왜냐하면 알 수 없는 기원을 파헤친다고 들려준 이 이야기 자체가 도리어 알 수 없는 기원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 책을 읽다보면 이 수많은 이야기들이 어떤 다른 것에서 기원된 것임을 알게 되지만, 그 기원에 근처한 이야기들 거의 대부분 역시 다른 소설들, 그러니까 다른 이야기들에서 기원한 것임을 알게 된다. 그러므로 이렇게 물을 수 밖에. 그렇다면 그 기원에 근처한 이야기들은 또 무엇에서 기원한 것인가? 그리고 이 질문은 아마 영원히 반복될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늘 그 반대에 위치한 질문들, 그러니까 이 이야기를 어디까지 믿어야 하지,가 아니라, 어디까지 이 이야기를 믿지 말아야 하는가,라는 회의가 되어야 하지 않을까? 거짓의 메커니즘이 실제와 같이 굴러간다고 해도, 다시 말해서 그 메커니즘이 진실이 이루어지는 방식으로 만들어져 있다고 해도, 그 메커니즘의 재료가 거짓인 한 그 끝에는 결국 거짓이 있기 때문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