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

Recent Comment»

« 2024/3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탈주(Break Away), 이송희일

Ending Credit | 2010. 9. 8. 00:14 | Posted by 맥거핀.



이 영화는 뚜렷한 몇 가지의 단점들이 있다. 이야기의 리듬이 일정치 않은 것도 그렇고, 주인공들이 때로는 너무 지나치다 싶을 정도로 감정을 드러내는 것도 그렇다. 영화 중간에 갑자기 서정적인 장면들이 빈번하고, 약간은 느닷없게 스며들어가 있는 것도, 좋게 보면 이송희일 감독 특유의 감수성이라고 할 수도 있겠지만, 나쁘게 보면 조금은 잉여의 장면들로 보인다. 인물들을 뒤에서 잡는 빈번한 시점숏이나 인물들의 감정을 드러내기 위한 극단적인 클로즈업은 장점들도 있지만, 조금은 촌스러운 구석도 있다. 글쎄. 그러나 이 영화는 그런 몇 개의 단점들에도 불구하고, 마음을 건드린다. 어쩌면, 그것은 지극히 개인적인 어떤 것과 연관되어 있는 어떤 부분인지도 모르겠다. 가끔은 그런 영화들이 있다. 정말 어떤 영화들은 아주 촌스러운 화면들을 가지고 있고, 이야기의 흐름에서도 뚜렷한 단점들이 엿보이지만, 기어이 영화를 끝까지 보게 만들고, 마음을 아프게 한다.

군대 이야기를 다루고 있기 때문일까. 글쎄. 내가 군대에 대해 감사하는 유일한 한 가지는, 좋은 사람들을 만났다는 것이다. 아니, 조금 더 정확히 말하자면, 나쁜 사람들을 만나지는 않았다는 것이다. 그러나 다른 많은 사람들의 경우에는 그렇지 않다. 그것은 그 사람들의 어떤 개인적인 인성의 문제 때문일까. 분명히 그런 것은 아닐 것이다. 그렇다면 군대라는 조직의 어떤 문제일까. 글쎄. 그것도 확신할 수 없다. 가끔 군대를 둘러싼 어이없는 주장들이 난무하는 광경을 본다. 그런 것을 볼 때마다 마음이 복잡하다. 그런 주장들을 펼치는 상당수의 남자들을 비웃으면서도, 마음 한 구석에는 왠지 그들을 쉽게 비난할 수 없다는 생각이 싹튼다. 왜냐하면 그들은 이미 철저하게 타의에 의해 군대라는 아주 어이없는, 비정상적인 조직을 경험했으니까 말이다. 아니 그들의 정신이 군대에 의해 망가졌다는 소리를 하고 싶은 것이 아니다. 다만, 군대라는 것은 우리 한국 사회에서 거의 대부분의 남자들에게 강제로 행해지는 아주 비이성적인, 잔인한 경험들이라는 점을 다시 강조하고 싶을 뿐이다. 그러므로, 예를 들어 군대를 어떤 편법을 이용하여 가지 않는 연예인들에게 쏟아지는 지나치다 싶은 잔인한 비난들조차 때로는 이해할 수도 있을 것만 같다. 그 이면에는 권력이나 금력의 문제, 이 사회의 계층의 문제가 개입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나마 가장 만만하고 간편하게 비난을 할 수 있는 계층이 연예인들이기 때문이다.
 
영화 속 탈영을 감행한 세 청년도 그러하다. 이병 동민과 일병 재훈(이영훈), 그리고 상병 민재(진이한). 그들이 느끼는 감정의 일면에도 아마 그러한 것들이 들어가 있을 것이다. 동민에 대해서는 확신할 수 없지만, 재훈과 민재는 모두 가난한 청년들이다. 재훈은 마트에서 비정규직으로 일을 하다가 군대에 왔고, 민재는 자동차 정비소를 차리겠다는 일념으로 힘겹게 기름밥을 먹다가 군대에 왔다. 그들의 탈영에는 각자 복잡한 사연들이 얽혀 있지만, 그들이 탈영한 이후 보여주는 분노들은 그 사연만으로는 모든 것이 설명되지 않는다. 그리고 아마도 그 일면에는 그러한 가난한 청년들이 가지고 있는 이 사회에 대한 분노가 들어 있을 것이다. 많은 한국의 청년들이 그러한 것처럼 말이다.

그런데 이송희일 감독은 이 문제를 조금 더 확장해 보고 싶은 것 같다. 다시 한 번 제목을 생각해보자. '탈영'이 아닌 '탈주', 그리고 영화 포스터에는 이런 문구가 박혀 있다. '여기만 아니면 어디든 괜찮아'. 그들이 말하는 여기란 단지 군대만을 의미하는 것일까. 아마도 그렇지는 않을 것이다. 영화 속 동민은 탈영하여 산 속을 맴돌면서 어차피 여기를 나가도 자신에게는 마찬가지라고 말한다. 집에 계시는 아버지도 만만치 않다는 것이다. 가정에 있는 아버지와 군대라는 곳에 있는 다른 아버지들. 그들에게서 벗어나기 위해, 그들은 그들이 갈 수 있는 최대한의 땅끝까지 달려간다. 그리고 너른 바다를 만나고, 힘없이 되뇌인다. 한국이 좁긴 좁네. 그들에게 있어서는 대한민국은 거대한 병영 사회에 불과하다. 힘없고 가난한 자들에게만 지옥이 되는 작은 병영 사회. 어디로 나갈 수 없이 3면이 바다로 막혀진, 숨막히고 시시각각 옥죄어 오는 거대한 감옥. 가난한 젊음들에게 출구란 있을까.

감옥에서 벗어나는 것은 쉽지 않다. 그들 세 청년은 스스로의 힘으로는 아무 것도 할 수가 없다. 그들은 그들을 돕는 소영(소유진)의 도움 없이는 아주 좁은 공간도 벗어날 수 없다. 하지만 그들을 돕는 소영 역시 비정규직인 가난한 또다른 청년에 불과할 뿐이다. 그 연대는 아주 작은 것으로도 쉽게 깨질 수 있는 아주 불안한 연대이다. 소영의 또다른 (비정규직) 친구가 도움을 거절한 것처럼 말이다. 그들을 도와줄 수 있는 사람은 그 어디에도 없다. 군대와 경찰은 그들에게 소리친다. 영창 좀 갔다오면 끝날 일을 크게 만들지마, 다시 시작하면 되잖아, 마지막 기회를 줄께. 그러나 그들에게 마지막 기회가 없는 것은 소리치는 군대도, 그 소리를 듣는 그들도, 관객들도 알고 있다. 그들에게 경고도 없이 사격을 가하던 처음부터 그들에게 마지막 기회란 없는 것이었다. 그들은 알고 있다. 이 대한민국이라는 사회는 강력하다는 것. 그들이 죽어도 며칠 뉴스거리도 되지 않을 것이라는 사실 말이다. 그 강력함은 어쩌면 그들 목에서 빛나는 군번줄이 상징하는 것일지도 모르겠다. 시작 부분에 조금 이상했던 것은 그들이 도망치고 사복으로 갈아입으면서도 그 군번줄을 계속 하고 있는 장면이었다. 우리는 그만큼 이 국가에 길들여져 있는 것일까. 아니면 아직도 이곳에 어떤 희망들을 가지고 있는 것일까. 재훈은 도망치다 어느 한 순간 군번줄을 던져 버린다. 아마도 그 순간이 재훈이 이곳에 대한 희망을 버린 순간일 것이다.

이 영화는 그래서 잔혹하다. 아무 희망도 가질 수 없음을 적나라하게 드러내보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것은 이 영화의 잔혹한 결말이 상징한다. 최근에 이보다 더한 잔혹한 결말을 본 적이 없다. (잔혹하게 피를 뿌려대는 것이 잔혹한 것만은 아니다!) 이송희일 감독은 아마도 작심하고 이러한 결말을 만든 것 같다. 감독은 그만큼 이 사회에 대해 뿌리깊은 절망을 가지고 있는 것일까. 이 아무 희망을 찾을 수 없는 잔혹한 결말은 너무 마음이 아프다. 그저 내가 할 수 있는 일이란 거의 텅빈 극장 안에서 엔딩크레딧을 지키며 앉아있을 수 있는 것밖에 없기 때문에 더 마음이 아프다. 어디로도 탈주할 수 없기 때문에.



- 2010년 9월, 롯데시네마 건대입구.

'Ending Cred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옥희의 영화, 홍상수  (2) 2010.09.29
시라노;연애조작단, 김현석  (4) 2010.09.18
이끼, 강우석  (2) 2010.08.04
환상의 빛, 고레에다 히로카즈  (3) 2010.07.15
하얀 리본, 미카엘 하네케  (2) 2010.07.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