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

Recent Comment»

« 2024/3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CINDI에서 본 두 편의 독립영화

Interlude | 2010. 8. 25. 01:56 | Posted by 맥거핀.
더운 여름날, 지나치게 서늘한 극장에서 두 편의 더 서늘해지는 영화를 보았다. 제4회 시네마디지털서울 영화제(CINDI FILM FESTIVAL)에서 본 두 편의 한국 독립영화. 박수민 감독의 <간증>과 전규환 감독의 <애니멀 타운>. 이 두 편의 영화는 몇 개의 우연이 겹쳐서 선택되었지만, 왠지 이 두 개의 영화는 조금은 연관이 되어 있는 것 같기도 하다. 먼저 말할 수 있는 것은 이 영화들이 반영하고 있는 우리 사회의 일단락들이다. 2009년에 만들어진 <애니멀 타운>과 2010년에 만들어진 <간증>. 글쎄. 아마도 이 영화들에 대해 쉽게 이야기하는 방법은 이 영화들이 최근의 우리 사회의 어떤 모습들을 반영하고 있다고 말하는 것일 것이다. 일군의 무리들이 만들어낸 실용적이고 날카로운, 그래서 잔혹한 세계, 그 이면의 바탕에 있는 우리 사회의 어떤 또다른 단면들을 펼쳐보인 것으로 말하는 방법 말이다. 그러나 그것이 다는 아닌 것 같다. 그 다른 한가지는 이 영화들은 우리 인간 사회의 어떤 이야기를 다루고 있지만, 왠지 그 인간 사회를 자꾸 벗어나려는 것처럼 보인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박수민 감독의 영화 <간증>은 인간들 사이의 이야기를 조금씩 그 이상(以上)의 영역으로 끌어올리고자 한다. 영화의 주인공들은 인간으로서 쉽게 답할 수 없는 질문들에 어떻게든 답을 찾으려 하거나, 인간 이상의 어떠한 존재가 되려고 한다. 전규환 감독의 영화 <애니멀 타운>은 그 제목이 모든 것을 설명하고 있다. 전규환 감독이 보는 우리 사회는 인간 이하의 '애니멀 타운'이다. 즉, 이 두편의 영화는 어떤 의미에서는 우리 인간들을 평행한 시선으로서 보지 않고, 위에서 내려다보거나, 혹은 아래에서 올려다보고 있다. 그렇게 보는 방법은 인간을 보는 방법에서는 유효할까.


먼저 박수민 감독의 <간증>. 이 영화는 몇 개의 것들이 내용상으로 계속 충돌을 일으키고 있다. 먼저 첫 번째 충돌. 참회하며 계속 고문하는 자와 참회하지 않으면서도 고문을 멈춘 자의 충돌. 과거의 고문 경찰 박덕준은 예전의 기억에 괴로워하지만, 여전히 청부 고문으로 생계를 이어간다. 그러나 그의 상관 임광한은 교회의 장로가 되어 간증을 하며 살아가고 있다. 이것이 가져다 주는 어떤 기이한 역설. 그리고 두 번째 충돌. 믿음이 부족한 자와 너무 지나친 믿음을 가진 자의 충돌. 너무 지나친 믿음을 가진 자는 그것 때문에 살인을 저지르고, 믿음이 부족한 자는 그 살인자를 고문하며, 그가 왜 살인을 저질렀는지 밝히려 한다. 그리고 마지막 세 번째 충돌. 그것은 이 영화가 가진 어떤 두 개의 상이한 시각 끼리의 충돌이다. 즉 '믿어야만 볼 수 있는가'라는 질문과 '봐야만 믿을 수 있는가'라는 질문 사이의 충돌. 우리는 그 두 개의 질문 중 어느 것에 손을 들고 답할 것인가. (물론 손을 들지 않고, 답도 하지 않는 방법이 있다.)  

마지막 질문에 대해서는 이 문제를 먼저 짚고 넘어갈 필요가 있다. 그 질문은 우리에게 있어서 가능한 것인가. 이 영화의 영어제목은 'A Confession'이다. confession? '고백' 또는 '자백'. 종교적인 의미에서는 '고해성사'. 이 영어 단어가 '간증'이라는 의미로도 쓰이는지 궁금해서 집에 와서 사전을 찾아보니, 간증은 'testimony'이다. 감독의 이 혼용은 아마도 의도적인 것처럼 보인다. 이 영화에서의 confession은 두 가지 의미를 지니고 있으니까 말이다. 하나는 신 앞에서 자신의 죄를 고백하는 것, 그리고 고문하는 자 앞에서 자신의 죄를 고백하는 것. 그러나 이 고백들은 진실할 수도 혹은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그리고 마찬가지로 자신의 종교적 체험을 고백하고, 하나님의 존재를 증언하는 '간증' 역시 진실할 수도 혹은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우리는 '고해'와 '간증'의 진실함을 어떻게 가려낼 것인가. 그것을 가려낼 자격은 '누구'에게 있는가. 그러나 그것을 가려내려고 애쓰는 자들은 그 질문에 답하기도 전에 여전히 일단 가려내는 그 자체에만 관심이 있다. 고문이건, 혹은 종교적인 형태이건, 어떤 다른 방법을 통해서건 말이다. 그들에게는 그 고백이, 혹은 간증이 그것을 행한 그 인간 자신에게 어떠한 의미인지에는 관심을 두지 않는다. 그저 간증 그 자체, 고백을 행하였다는 그 자체만이 고백을 끌어내려는 자에게는 의미가 있을 뿐이다.

영화 그 자체만을 놓고 보았을 때에는 이 영화 <간증>은 몇 가지 단점도 엿보인다. 박덕준의 상관 임광한은 조금 더 풍성한 내용을 담을 수 있는 캐릭터였지만, 지나친 도식화로 캐릭터는 조금 빛을 잃어버렸다. 그는 그저 국가라는 절대자를 신이라는 절대자로 대체한 것에 불과한 것일까. 거기에는 조금 더 다른 함의가 끼어들 여지가 있다고 본다. 그리고 그것 때문인지는 몰라도, 그 덕분에 임광한과 박덕준의 이야기와 뒤의 이야기는 분리된 것처럼 느껴지기도 하고, 두 개의 이야기를 억지로 이어붙인듯한 느낌도 준다. 그리고 전체적으로는 눈에 보이는 도식화와 상징은 이 이야기의 전체적인 힘을 떨어뜨리고 있다. 감독은 도리어 명확한 설명이 필요한 순간에는 모호한 상징으로 대치하고 만다. 이 영화는 묵직한 주제를 어떤 식으로 풀어나가야 하는지, 어떤 식으로 형상화를 해내야 하는지 명확한 중심이 서지 않은 듯한 느낌이다.


다음은 전규환 감독의 <애니멀 타운>. 마지막에 이 영화가 서울시의 지원을 받아 촬영되었다는 엔딩 크레딧의 내용을 보며, 살짝 웃음이 나왔다(그래서 그런지 몰라도 이 영화에는 서울의 몇몇 랜드마크들이 약간은 의도적으로 등장한다). 글쎄. 내가 철저하게 공무원 정신에 입각한 공무원의 입장이라면 이 영화에 지원을 하지 않았을 것 같다. 이 곳 서울이 그저 하나의 '애니멀 타운'에 불과하다고 말하는 영화이니까 말이다. 우리 사는 이 세상이 결국 그저 '동물들의 세계'에 불과하다는 그 자조감. 그러나 한편으로는 어쩌면 이는 동물에 대한 모독일지도 모르겠다. 그 한가지 단적인 예로, 동물 중에 소아성애적인 성향을 가진 동물이 있던가. 잘 모르겠지만, 아마도 거의 없을 것 같다. 그래서 그런지 몰라도, 이 영화에는 유독 인물들의 육체가 자주 전시된다. 아니 육체라고 말하기 보다는 거대한 고기덩어리에 가깝다. 그 고기덩어리는 땀을 흘리고, 밥을 먹고, 다른 고기 덩어리를 때리고, 교미한다. 그 육체를 불편할 정도로 스크린에 들이대는 것, 그것은 분명히 감독의 의도된 연출일 것이며, 그 중에서도 특히 소아성애자의 육체가 유독 자주 전시되는 것은 어쩌면 감독의 영화적인 복수인지도 모른다. 

이 영화는 범죄자를 보는 어떤 독특한 시선을 가지고 있다. 이 범죄자는 영화 내내 상당히 측은한 존재로 묘사되고 있다. 너무나도 불쌍해 보여, 그가 옆에 있다면, 어떤 형태로든 도와주고 싶을 정도이다. 그는 그저 우리 사회에서 가깝게 볼 수 있는 불쌍한 보통 사람이며, 이 절박한 세계에서 어떻게든 살아남으려고 발버둥치는 가련한 인간처럼 느껴진다. 그와 보통 사람을 가르는 구분은 오로지 그의 발에 감겨진 전자 발찌밖에 없다. 그 전자 발찌를 제외하고는 그저 그는 우리의 측은한 보통 이웃처럼 보인다. 이것은 최근 우리나라의 어떤 상업영화들과 뚜렷이 구분되는 지점이다. 최근 <악마를 보았다>를 필두로 몇몇 영화들은 범죄자들을 거의 악마 혹은 괴물과 같이 그리고 있다. 어떤 의미에서는 진짜 그저 악마 그 자체로만 보인다. 즉 인간으로는 보이지 않는다는 말이다. 아니, 나는 이 영화 <애니멀 타운>이 다른 영화와 달리 범죄자를 '긍정적으로' 그리고 있다고 말하고 있는 것이 아니다. 도리어 그 반대에 가깝다. 나는 그 가련해보이는 인간이 더 무섭다. 괴물은 그 다름이 뚜렷이 드러나기 때문에 잡아내면 되지만, 그 '인간'들은 잘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우리는 사실 그가 소녀에게 어떤 '마음'을 가지고 그 곳에 갔는지, 진짜 오줌이 마려워 그 곳에 갔는지 알 수 없다. 뛰어 다니는 멧돼지는 피하면 되지만, 안 뛰어 다니는 인간들은 진짜 피할 수 없다. 가장 절망적인 사실은 우리 자신도 때로는 다른 사람들 눈에 비슷하게 보일지도 모른다는 사실이다. 그래서 여전히 우리는 서로를 의심의 눈초리로 바라보며, 몇몇 아이들은 그 틈바구니 속에서 여전히 무방비로 노출되어 있다. 그래서 다시 한 번. 이곳은 '애니멀 타운'일까. 하지만, 적어도 '애니멀'들은 무리를 보호하는 데에는 필사적이다.

이 영화에는 뚜렷한 리듬감이 존재한다. 감독은 영화의 중반까지 관객들을 몰아붙인다. 영화 속에서는 어떤 특별한 사건이 벌어지지 않는데도, 자리에 앉아있기가 심하게 불편할 정도다. 그러다가 일순간 휘몰아치며, 관객들을 어리벙벙하게 만든다. 글쎄. 이를 좋은 리듬이라고 말할 수도 있겠지만, 상업 영화라는 관점에서는 이를 조금 조절하는 것이 필요한 것처럼 느껴진다. 관객들도 숨을 쉴 곳은 필요하니까 말이다. 그 스트레이트함을 거스르지 않을 정도의 리듬, 그것이 어떻게 구현될 수 있는가에 대해서는 또다른 생각들이 필요할 것 같다.



덧. <간증>에서는 김기영 감독의 페르소나라고 불리는 돌아온 여배우 '이화시'씨가 등장한다. 



- 2010년 8월, CGV 압구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