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

Recent Comment»

« 2024/3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계몽영화, 박동훈

Ending Credit | 2010. 5. 8. 02:36 | Posted by 맥거핀.
(포스터만 봐서는 호러물이지만, 호러물은 아닙니다.-_-)



계몽영화. 아마 보통의 영화감독이라면 자신의 영화에 이런 제목이 붙기를 원치 않을 것이다. 계몽이라는 말이 거의 사어(死語)에 가까울 뿐더러, 혹여 쓰인다고 해도 요즘에 들어서는 '계몽'이라는 말은 거의 조소나 모욕과 비슷한 것으로 여겨지니까 말이다. 내가 너를 계몽해야겠다...라고 말한다면, 그 상대방은 아마 나에게 가운데 손가락을 내밀며, 이거나 드시죠, 라고 말할 것이다. 계몽..아니, 굳이 계몽까지 가지 않더라도 요즘에는 누군가에게 무엇인가를 가르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해진 시대니까 말이다. 인터넷 시대에 게시판에서 가장 분란이 많이 일어나는 경우 중의 하나가 "어디 나에게 가르치려 들어?"인 것은 거의 주지의 사실. 그래서, 어쩌면 이 <계몽영화>라는 제목은 감독의 시대에 대한 냉소일지도 모른다.

그도 그럴 것이, 이 영화에 등장하는 삼대(三代)는 조금씩, 조금씩 비틀어져 가고 있기 때문이다. 친일로 부와 지위를 쌓은 1대, 그리고 군부독재의 시대에 독재에 빌붙어 폭력적이고 기형적으로 성장한 2대, 개인주의의 시대에 이기적으로 성장한 3대. 그들이 보여주는 비틀어진 가족극의 굴레. 그러나 그들에게는 몇 번인가 선택의 순간이 있었다. 비틀어진 것들을 조금씩 바로잡아나갈 기회들이 말이다. 그러나 단지 그들은 그 때마다 '자신을 위하는' 선택을 해나갔을 뿐이다. 주위 사람들은 어떻게 되든지, 말든지, 자신들만 앞으로 나아가려는 그러한 선택들을 말이다. (이 영화의 팜플렛에는 이 영화는 '태도에 대한 영화'라고 밝히고 있다.)

아니, 사실 그렇게만 말하는 것은 잘못된 말일 것이다. 그들의 그러한 선택들이 단순히 자신들만을 위한 것이었을까? 그것에는 한국 사회의 어떤 대물림에 대한 처절한 욕구가 담겨 있다. 때때로 수많은 선택들은 자식들을 위한 것이라는 미명 하에 모든 것이 정당화된다. 자신들이 가진 부, 지위, 명예...등등을 자식들에게도 그대로 대물림하려는 욕구, 그것들은 영화 속에서의 주인공들의 반복되는 행위들의 중요한 이유 중의 하나가 된다. 그것은 영화 속에서 주류사회에 대한 욕망으로 표현된다. 초등학교 앨범 사진촬영에서조차 중심에 서야 한다는, 주류사회에 대한 그 처절한 발버둥질. 그러나 그 처절한 발버둥질은 주류사회에 대롱대롱 매달려 있게 하는 것과 동시에, 몇몇 대물림되지 말아야 할 것 - 폭력, 이기심, 탐욕 등등 - 까지 동시에 대물림되는 결과를 낳았다. 아니, 아마도 그것들 역시 대물림되기를 스스로 원했던 것들인지도 모른다. 그리고 결국 대물림되는 그것의 결과물들이 결국 무엇을 초래하는지 영화는 밀도 있는 서사 속에서 흥미롭게 이야기를 전개시켜 나간다.

이렇게 놓고보면, 이 <계몽영화>라는 제목은 흥미롭게 읽힌다. 이 3대는 어떤 의미에서는 한국의 주류 사회의 모습들을 상징하고 있기 때문이다. 즉 역으로 말해서 한 두가지 장면들을 제외한다면, 이 가정의 모습은 60-70년대 '대한뉴우스'에 실려도 전혀 어색하지 않을, 권장할 만한 가정의 모습이다. 즉 이 모습들은 한국의 나머지 비주류들이 그토록 원하는 부와 지위와 권력을 약간이나마 소유하고 있는 모습이며, 나머지 비주류들에게 이상적인 형태로서 '계몽의 표본이 될' 만한 가정이라고 여겨지기도 하고, 실제로 상당 부분 그렇게 계몽되어 오기도 했다. 그러므로, 결국 이 영화는 이 '계몽의 표본으로서 내세울만한 가정'이 실상 그 내부적으로 전혀 '계몽의 표본'이 아님을 드러냄으로써, 그간 '이 정도 수준'이 계몽, 혹은 동경의 대상으로 여겨지던 한국 사회의 수준이 과연 어떤 것인가를 이 <계몽영화>라는 제목을 통해 물으며 조소한다. 그리고 한국 사회의 지난 모습들을 직접적으로 상징하고 있는 3대의 각 인물들을 펼쳐보임으로써 이것이 단지 한 가정의 이야기만이 아니라, 한국 사회의 지나간 모습들과 그 때의 선택의 결과들이 초래한 현재의 모습임을 드러내 보인다. 그리고 묻는다. 우리는 그간 역사 속에서 어떠한 선택을 해왔는가? (예를 들자면 아마도 이런 질문들일 것이다. 친일파를 청산하자던 '반민특위'는 어떻게 되었는가?) 그 선택에 당신은 자유로운가? 아마도...아마도, 그것에 거의 자유로운 사람은 없을 것이다. 우리는 주류이건 아니건 간에, 어쨌든 그 주류 사회의 끄트머리라도 잡고 매달려보고자 이들과 같이 발버둥을 쳐왔으니 말이다. 즉 이 영화의 3대는 타자화된 당신들이 아니라, 바로 우리 자신들, 그리고 더 나아가 그저 '우리 사회 그 자체'일 것이며, 그것이 이 영화가 묵직한 뒷맛을 남기는 이유이다.  
............................................

마지막으로 2가지 의문점이 남는다. 한 가지 의문은 이 영화의 캐릭터 구성에 대한 의문이다. 이 영화에서 전체적으로 남성 캐릭터들은 심리적으로 불안하게 그려져 있는 반면에, 여성 캐릭터들은 상대적으로 강하게 묘사되어 있다. 예를 들어, 작은 기업체의 사장이자, 집안의 독재적인 가장이며, 카라얀을 사랑하는 예술 애호가이면서(이 카라얀 역시도 아내가 권해준 것) 동시에 알코올에 찌들어 있는 2대 정학송의 불안한 모습과 그와 대비되는 아내의 모습은 어떠한가. 뒤의 결정적인 사건들을 제외하고라도 이 불안한 남성 캐릭터는 독재적인 군사정권에서 가정과 학교, 군대라는 폭압적인 체제 하에서의 뒤틀린 한국의 남성들을 묘파하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그렇다면 태선과 그의 남편, 김성호의 관계는 어떨까. 이를 단순하게 태선이 아버지에게서 물려받은 폭력성의 잔영으로만 이해하여야 할까. 이 영화의 주된 화자(話者)인 태선과 그리고 이 영화의 또다른 중심축인 태선의 어머니(학송의 아내)의 병실에서의 모습 등은 꽤나 흥미롭게 보인다.

그리고 또다른 의문은 이 영화의 결론과 관련된 것이다. 문을 전부 뜯어고치겠다는 태선의 태도를 우리는 긍정의 예후로 읽어야 할까. 글쎄. 그러면서도 태선은 여전히 대물림에 대한 집착을 버리지 않는다. 예전의 세대가 직접적으로 부와 지위와 권력을 자식들에게 넘겨 주는 방식을 택했다면, 현재의 세대는 간접적으로 이수하는 방식을 택한다. 그것은 자식을 비싼 돈을 들여서 과외를 시키고, 8학군에 보내고, 조기유학을 보내는 방식이다. 그러나 간접적이라고는 하나, 이 방식이 더욱 효과가 크다. 그러한 교육이 큰 효과를 가지도록 사회구조가 이미 공고하게 짜여져 있기 때문이다. 예전처럼 남들 보란듯이 대물림하지 않아도 되는 이 세련된 방식이 큰 효과를 가지도록 점점 주류사회는 사회를 그렇게 만들어갔고, 앞으로도 만들어갈 것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태선이 자식을 공항에서 홀로 보내는 이 마무리 장면은 꽤나 씁쓸하게 느껴진다. 우리 사회는 달라질 수 있을까.

이제 조금은 긍정적으로 이 제목 <계몽영화>를 되새겨보자. 현재의 변질된 의미와는 다르게 본래 계몽이란 인간의 이성을 바탕으로 편견이나 미망에서 빠져 나와 자신의 주체적 현실을 구축해 나감을 의미하였다. 즉 신의 거대한 치마폭에 둘러쌓여 있던 중세의 어두운 시기를 밝게 하는 것(enlightenment), 그것이 바로 계몽이었던 것이다. 한국 사회에 있어서는 이제 어쩌면 지금의 시기가 새로운 의미의 '계몽', 그리고 그에 바탕한 '계몽영화'가 필요한 시기가 아닌지 모르겠다.  



- 2010년 4월, 씨네코드 선재.



* 인디포럼 4월 월례비행으로 본 영화인데, 게으름 덕택으로 이제야 어렵게 기억력을 되살려가며 씀. -_-


'Ending Cred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녀, 임상수  (2) 2010.05.26
하하하, 홍상수  (2) 2010.05.12
경 Viewfinder, 김 정  (2) 2010.04.30
바비 (BOBBY), 에밀리오 에스테베즈  (0) 2010.02.13
아바타(AVATAR), 제임스 카메론  (6) 2010.01.01
: